2023년 12월22일
2023년 12월22일
정사영상 GSD 4.6cm
강릉대도호부 관아 (江陵大都護府 官衙)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8,951㎡
지정(등록)일 : 1994.07.11
소 재 지: 강원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시 대: 19년(936)
소유자(소유단체) :강릉시 등
관리자(관리단체) : 강릉시
문화재 설명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1993년에 강릉 시청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실시한 발굴 조사한 결과,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관아 성격의 건물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임영지』의 기록을 통해 이 유적의 중요성과 옛 강릉부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릉임영관 → 강릉대도호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4.11.27 고시)
강릉대도호부 관아 전경
사용기체
-드론 : Dji M300rtk with CSM Radar
-페이로드 : Share 203S Pro(다방향카메라 1억만화소),dji L1 lidar
SHARE 203S Pro
5방향 1억만화소 카메라
dji L1 lidar(라이다 데이터 취득용)
CSM radar
전선 및 얇은 장애물 감지 및 최대 30미터 떨어진 물체를 수평360방향에서 탐지하여,안전한 미션비행을 수행